java(219)
-
[프로그래머스]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 JAVA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과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을 길이 n씩 잘라서 저장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my_str의 길이 ≤ 100 1 ≤ n ≤ my_str의 길이 my_str은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 int n) { String[] answer = new String[(int) Math.ceil((double) my_str.length() / n)]; int ch = 0; for(int i = 0;imy_str.length()){ answer[ch] = my_str.substring(i, m..
2023.04.16 -
[프로그래머스] 영어가 싫어요 - JAVA
문제 설명 영어가 싫은 머쓱이는 영어로 표기되어있는 숫자를 수로 바꾸려고 합니다. 문자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bers를 정수로 바꿔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numbers는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numbers는 "zero",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들이 공백 없이 조합되어 있습니다. 1 ≤ numbers의 길이 ≤ 50 "zero"는 numbers의 맨 앞에 올 수 없습니다.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String numbers) { long answer = 0; numbers =..
2023.04.16 -
[프로그래머스] 7의 개수 - JAVA
문제 설명 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1 ≤ array의 길이 ≤ 100 0 ≤ array의 원소 ≤ 100,000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 int answer = 0; for(int i : array){ String st = Integer.toString(i); for(int q = 0;q
2023.04.16 -
[프로그래머스] 소인수분해 - JAVA
문제 설명 소인수분해란 어떤 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2를 소인수 분해하면 2 * 2 * 3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의 소인수는 2와 3입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의 소인수를 오름차순으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2 ≤ n ≤ 10,000 코드 import java.util.Array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ArrayList answer = new ArrayList(); int i = 2; while(n>=i){ if(n%i==0){ int check = 0; for(int q = 0;q
2023.04.16 -
[프로그래머스] 컨트롤 제트 - JAVA
문제 설명 숫자와 "Z"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담긴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 이 때 "Z"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 숫자와 "Z"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질 때,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1 ≤ s의 길이 ≤ 200 -1,000
2023.04.16 -
[프로그래머스] 숨어있는 숫자의 덧샘(2)- JAVA
문제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은 소문자, 대문자, 자연수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my_string안의 자연수들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조건 1 ≤ my_string의 길이 ≤ 1,000 1 ≤ my_string 안의 자연수 ≤ 1000 연속된 수는 하나의 숫자로 간주합니다. 000123과 같이 0이 선행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문자열에 자연수가 없는 경우 0을 return 해주세요.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my_string) { // 정규식 사용 숫자가 아닌 문자를 모두 제거 String[] numbers = my_string.split("\\D+"); int sum..
2023.04.09